창업은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싸움 (이기고 이썽?)
1일차 BD를 위한 창업가 정신 1 VOD
실시간 강의가 아니어서 놀랐던 나. VOD를 통해 셀프 생각 개발이구나? 초보자를 위한 눈높이 교육이 맞다. 쉬운 말로 구성되어 있음.
2025년 2-6월 (4개월) 부트캠프 과연 나는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2월 - 이론을 머리에 집어 넣는 시간
내 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 ING.
🏫오늘의 키워드
☑️'창업은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싸움'
☑️ 가설수립 - 검증 - 실행 < 이 과정에서 필요한건 구현기술+실행력 X 무한 반복
☑️무자본으로 시작? > 나만의 구현기술 필수
예) 음식이라면 내가 요리사인가? 레시피가 있나? 요리를 할 줄 아나?
예) 온라인, 어플이라면 내가 코딩, 개발, 디자인을 할 줄 아나? 뭐든 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내가 가진 역량이 한끗은 있나?
❣️창업 시작 전 단계 결국 이거야 (핵심 포인트)
디폴트 :
✅미리 팔아보기를 하기 위해 가설검증 전략을 어떻게 세울거니?
✅ 시간 투자도 투자야. 본격적인 사업에 내 시간 투자전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뽑아야해.
1) 가설 세우기
2) 가설 검증 - 구현 기술을 활용 > 실행
3) 미리 팔아보기 - 내부적인 비효율 발생(돈 드는 것보단 나으니까?) 저퀄로 보이지 않게 하기
4) 1번-3번 무한 반복
내가 생각하는 중요한 부분
무한 반복의 과정에서 회고와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가설 검증에서 이게 왜 안 되었는지, 어디가 구멍이 났는지, 이 결과가 정말 믿을만한 결과인지. 재차 확인해야 한다.
가설검증 1 > 개선 부분 찾기 > 전략 수정 > 가설검증 2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필요하면 가설 검증 한 번 더 돌리거나, 다른 전략을 구상해야함.
여기서 초보자는 궁금할 수 있다. 가설 검증 했는데 이게 되는건지 아닌지 어떻게 알죠?
나는 결과 값이 70% 이상이면 그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고 있다.
이런 부분을 좀 더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
☢️이탈 방지 체크리스트
✔️제품, 서비스의 본질이 뭔지 알아요? 핵심가치를 검증해야함.
✔️가설 검증(실험)시 통제변인을 최대한 배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통제해야함, 아니면 결과가 잘 안나올껄?)
✔️가설검증시 기록하기 (안 되는 다양한 방법 찾는거야, 어차피 안됨)
✔️ 하고자 하는 제품의 구현기술(핵심기능)을 가지고 있나?
Killer Function : 제품, 서비스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고 경쟁 제품과 차별화 되는 핵심기능
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개인 맞춤형 추천 기능
강의는 아주 쉽고 간단하게 설명되었다. 즉, WHY?왜? 는 이렇다이다.
HOW어떻게?를 알아보자.
미리 팔아보기(프리토타입)는 책으로 다양한 방법론을 찾을 수 있다.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이라는 아주 좋은 책이 있는데, 제발 한 번만 읽어줘요.
"처음부터 '될 만한 놈'을 찾아야 시장을 이긴다."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89707566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 예스24
구글 최초의 엔지니어링 디렉터·스탠퍼드대학 혁신 마이스터 알베르토 사보이아의 30년 아이디어 검증 전략의 집대성 ★ 지난 10년간 실리콘밸리 벤처투자가와 예비창업가 사이에서 수만 회 공
www.yes24.com
🏃🏼♀️➡️실행 사례를 통해 알아보기
1 학원 사업
상황 : 코딩이 공교육에 도입되고 필요로 하는 분야가 늘어날듯?
가설 : 코딩을 배우는 사람이 늘어날듯?
조사 1 : 근처에 코딩 학원이 있는가? > 생각보다 괜찮은 곳이 없네? > 눈누 내가 함 :)
Q 나는 구현기술을 가지고 있어?
A 응, 코딩 할 줄 알아. 완전 잘하지 않지만 이렇게 시작하는거지 모, 하면서 늘어 + MONEY
조사 2 : 코딩 배우고 싶은 애들이 있나? 학부모 수요조사
가설 검증/미리팔기 : 실제 교육이 있는 것처럼 학부모 모집, 이런 코딩 교육을 할건데 애들 보내고 싶은 사람 손🤚🏼
결과 : 배우고 싶은 아이들이 있어! 모아보자
시작 : 소수 인원을 받아서 스터디카페에서 수업 진행 > 진짜 커리큘럼 과정들을 사람 있네+ 입소문 > 이렇게 사업 시작
2 노량진 분식사업 (실패)
상황 : 무자본 창업은 아니었음. 분식 사업을 하다가 니즈 발견, 홍보 어떻게 하지? 에서 시작
조사 : 노량진 학생 커뮤니티를 보니 그렇게 활발하지 않았음 = 홍보 어려움/ 지역 로컬 커뮤니티도 없잖아?
가설 : 노량진 학생, 분식집업주/ 둘의 이해를 만족하는 사업 아이템 구상
- 업주 : 홍보가 필요해 (무료 쿠폰을 발행하고 고객이 더 올 수 있다고 하면 무료 쿠폰 필요할거야)
- 학생 : 수험생은 돈이 없어, 쿠폰 있으면 매장가서 또 먹고 먹지 않을까?
가설검증 : 구현기술(코딩) 활용, 온라인 쿠폰사이트 제작
미리팔기 : 업주에게 영업함(님들 진짜 무료쿠폰 필요함?) > 영업에도 스킬이 필요해 (내가 컴퓨터 학원 학생인 척하고 가야 받아줌)
결과 : 음, 실패함. 그들의 니즈가 이게 아니지 않았을까.
❓그래서 아이디어 어떻게 찾죠?
1) Bottom-up : 일상에서 문제점 찾기 (작은 문제에서 큰 시장 파악)
이미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시장 확인 (그럼에도 불편한게 있다)
문제 인식 시작 > 소비자 니즈 파악 > 문제 해결에 대한 방법을 고민
예) '우버' : 택시 잡기가 불편해서 문제해결을 위해 차량 공유 서비스 개발
☑️ 시도 해보자
- 문제 인식: 일상에서 불편함 찾기
- 소비자 니즈 파악: 해당 문제로 인해 소비자들이 겪는 불편함과 그로 인한 니즈를 조사
- 가설 : 발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설 수립
- 미리팔아보기: 가설 기반으로 미리팔아보기 제작, 실제 고객 대상으로 테스트 > 피드백 수집
- 비즈니스 모델 구축: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수익 창출 방법, 마케팅 전략 등을 포함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
- 시장 진입 및 확장: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 초기 고객의 반응 확보 > 시장 확장
2) Top-down : 큰 시장에서 문제점 찾기
시장 트렌드 파악 : 그 시장에서 어떤 문제가 해결 되지 않았지?
어떻게? : 사회적, 경제적 이슈를 파악, 세상에서 급격한 변화가 있을 때 기회가 있다.
거기서 틈새가 나온다. 틈새를 공략하는 가설 찾아봐.
예) 김치냉장고 딤채 - 1990년도 초반 일반 냉장고는 김치 보관에 최적화 되지 않았음. 신선도 유지하는 김치 냉장고 개발
예) 글로벌 식품산업 - 글루텐프리 제품 : 웰빙, 건강에 대한 관심도 상승, 민감하거나 알러지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한 특화 제품 탄생
☑️ 시도 해보자
- 시장 분석: 현 트렌드, 주요 플레이어 조사
- 사회적·경제적 이슈 파악: 사회적 변화, 경제적 동향, 기술 발전 등 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새로운 기회나 문제 파악
- 문제 정의 :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장에서 충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나 소비자 불만 조사
- 틈새 시장: 문제 기반 > 공략할 수 있는 특정 소비자 그룹, 시장 세그먼트 파악
- 가설 설정 / 검증: 문제 해결 가설 수립 > 미리 팔아보기 시작
- 비즈니스 모델 개발: 검증된 가설을 바탕으로 수익 모델, 운영 계획, 홍보 >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 실행 및 모니터링: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 초기 고객의 반응 확보 > 시장 확장
3)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제품/서비스 최초 개발 - 시장 선도
예) 코카콜라는 최초로 탄산음료를 출시
☑️ 시도 해보자 (이 과정은 초보자가 진입하기에 너무 어려움)
- 아이디어 구상 : 기존에 없던 제품/서비스 아이디어 구상 (근데 사실 있기가 어려움/대체로 비슷한 듯 다른게 아닐까?)
- 시장 조사: 잠재적 수요와 시장 규모를 파악
- 시제품 개발: 아이디어를 구체화한 시제품 개발
- 팔아보기 및 피드백: 잠재 고객이나 전문가에게 테스트, 피드백을 수집하여 개선점을 도출 > 개선 > 과정 반복
- 비즈니스 모델 수립: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 유통, 마케팅, 수익 창출 방안 등을 포함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
- 시장 출시 및 홍보: 최종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 > 홍보 통한 수익 창출
4) 패스트 팔로어 (Fast Follower)
이미 개척한 시장을 빠르게 따라감
기존 제품/ 서비스를 개선하고 경쟁력 확보
예) 삼성은 아이폰이 개척한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 갤럭시 시리즈로 시장 점유율 높힘.
✅현재 우리는 이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할 예정.
☑️ 시도 해보자
- 시장 조사: 선도 기업들의 제품,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분석 > 벤치마킹
- 문제 인식: 제품/서비스의 한계나, 소비자 불만을 파악 > 가설 수립
- 차별화 전략 수립: 발견한 개선점(가설) 기반으로 나만의 차별화된 제품/서비스를 개발 전략 수립
- 미리 팔아보기: 가설 검증을 위한 프리토타입 제작 > 시장 테스트 > 피드백을 수집 > 반복
창업 마인드셋
그런 느낌이었다. 결국 나를 알아야 적을 알고 그래서 내가 이길 수 있다는 것.
☑️ 여러분은 본인의 정체성을 알고 있나요? 나는 어떤 사람인가요?
☑️ 어느 것에 강점을 가진 사람인가?
☑️ 행복감을 느끼는 순간과 일치하는 업이 중요함. (결국 행복하자고 하는거 아냐?)
☑️ 행복+나의 강점+고객니즈 일치 되는 것이 있나요? 축하드립니다! 바로 그거임!
예)
행복 : 누군가에게 지식을 전달할 때 행복함
강점 : 코딩 역량
니즈 : 코딩 공교육 도입
히히, 모든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요. 나를 믿지 말아요.☺️
'IT 스타트업 실무형 사업 개발자(BD)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0) | 2025.02.19 |
---|---|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0) | 2025.02.18 |
문제는 스피드, 빠르게 창업 아이디어 가설 검증 (0) | 2025.02.17 |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0) | 2025.02.15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2025.02.19 -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2025.02.18 -
문제는 스피드, 빠르게 창업 아이디어 가설 검증
문제는 스피드, 빠르게 창업 아이디어 가설 검증
2025.02.17 -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