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스피드, 빠르게 창업 아이디어 가설 검증
3일차 비즈니스 빌드업 공식 1
🏃🏼♀️➡️가설 세우기 (빠르게 SPEED)
✅가설 세우는데 많은 시간 소비하지 않기X
✅가설은 오로지 가설이다 > '실험'하고 '검증'하는게 더 빠름!
✅가설+실험 = 이런 '결과'를 도출하네?! 를 보는게 중요! ⭐ ⭐ ⭐ ⭐ ⭐
일단 시작을 하려고 해도 내가 찾은 세상의 문제가 필요하다. '이런게 있다면 어떨까?'에서 시작해보자. 아래는 한번쯤 생각해봤던 것을 적어놓은 아이디어 보물창고 링크이다. (나도 시도때도 없이 기록하고 적어야겠다고 다짐)
사업 아이디어 101 지금 시작합니다. | Disquiet*
어느새 8월. 조금 혼란했던 7월을 마무리하면서 7월 회고와 함께 현 진행 사항을 공유합니다. 지난 메이커로그에 올린 상황을 복기하면 ‘누구나 원하는 영화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 블록커스
disquiet.io
위의 글에서 발췌함. 아이디어도 아이디어이지만, 나는 현재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부족하므로 어디에 집중을 해서 되는 것을 쳐내야하는지 기준이 도움이 되었다.
위 아이디어들은 아래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순위를 측정하고 빠르게 실험할 생각입니다.
1. 얼마나 큰 시장인가.
2. 반드시 풀어야 하는 문제인가.
3. 지금 즉시 해결해야 할 문제인가.
4. 점점 더 많은 사람이 겪을 문제인가.
5.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인가.
6. 시작하기에 얼마나 쉬운가.
7. 창업팀과 적합도가 높은가.
린스타트업 방식을 활용한 창업 스토리 찾기 (숙제)
어떻게 하면 빠르게 '린'하게 시작을 할 수 있을지를 생각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걸 만들 수 있는가?에 집중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우리는 '이것을 만들어야 하는가?'에 집중 해야한다. 가설 검증이 이에 해당 한다고 본다.
에릭 리스는 린스타트업의 전제가 피벗(pivot)사이의 시간을 줄이는 것이 성공 확률을 높인다고 한다. 검증된 학습을 반복하는 것. 포기하지 않고 피드백, 데이터에 기반해 가설을 방향을 트는 것. LEARN(학습)이 중요하다.
🏫사업 아이디어 구상은 그래서 어떻게..?
✅다양한 산업군 사업의 프로세스 이해, 분석, 시장성 판단 연습 필요 (그래서 많이 봐야함)
✅리서치 중 다양한 사업, 서비스, 다양한 비즈니스 보기 (그냥 보는게 아니라 분석하기)
✅많이 봐야 소스와 영감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디자이너도 레퍼런스를 많이 봐야 좋은 디자인이 나옴)
Q. 오프라인 사업이 온라인으로 넘어오지 않은 것이 있나? (숙제)
Q. 구독서비스를 조사해보자.
☑️내가 관심있고,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것을 계속해서 찾고 리스트업 하기
☑️돈이 도는 자본시장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적어보고, 수익구조 방식이 다른 산업분야에도 적용 가능한지 생각하는 것
☑️위와 같은 작업을 계속해서 반복하기
예) 주식리딩방/주식유투버, 구독하고 정보 드는 사람, 증권사 = 세가지가 윈윈하는 구조가 있음.
'IT 스타트업 실무형 사업 개발자(BD)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0) | 2025.02.19 |
---|---|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0) | 2025.02.18 |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0) | 2025.02.15 |
창업은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싸움 (이기고 이썽?) (1) | 2025.02.1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마케팅퍼널='고객구매여정' 창업사업 강조강조
2025.02.19 -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밀도 있는 성장이란 무엇인가?
2025.02.18 -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네이버 최적화, 페이스북 광고하는 방법
2025.02.15 -
창업은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싸움 (이기고 이썽?)
창업은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싸움 (이기고 이썽?)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