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MVP 기반 마케팅, 브랜드 포지셔닝, 가격 전략
MVP 기반 마케팅, 브랜드 포지셔닝, 가격 전략
2025.03.29MVP 기반 마케팅 전략 전략 핵심 포인트 실전 예시 제품 인지도 확보- 목표는 '완벽한 제품’이 아닌 ‘인지도 있는 존재’- 사전 접점: 커뮤니티 티저, 대기 리스트, 알파 사용자 유치- 초기 반응 기반 콘텐츠: “우리가 이런 문제 해결 중”, “이런 사람들 이미 써보고 있다”→ Linear 팀은 MVP 단계에서 기능 설명보다 “생산성 지향적인 팀 문화와 설계 철학”을 먼저 알림고객 참여 & 커뮤니티- Slack/Notion 커뮤니티 운영 (초기 고객 모집) - 고객을 공동 창업자처럼 대우- 고객이 의견을 내고 → 반영되는 경험을 주는 게 핵심→ Notion 초기 유저는 기능 요구사항을 Trello 공개 보드에 직접 작성할 수 있었음가치 제안 & 메시지- 기능 X 문제 해결 방식에 집중 "어떤 문..
초기 고객 1000명 모집 / AB 테스트 /스타트업 문제해결 시스템
초기 고객 1000명 모집 / AB 테스트 /스타트업 문제해결 시스템
2025.03.28초기 사용자 1,000명 모으는 7가지 실전 전략 초기 1,000명의 반응이 MVP의 성패를 가름이상적인 접근법은 제품 성격에 따라 다름중요한 건 정확한 타겟 설정 + 실질적 가치 전달 친구 및 동료 활용가장 빠르고, 쉬운 접근법.초기 사용자의 20%는 이 방법에서 시작됨.적합한 경우: 모두에게 유용한 제품 (예: Reddit, Facebook, Lyft)포인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지인이 핵심 타깃과 유사한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제품을 써보도록 요청한 적 있나요?” 타겟 고객에게 직접 접근30% 이상의 소비재 스타트업이 이 방식으로 성장함.이메일, DM, 전화를 활용한 직거래형 전략.적합한 경우: 마켓플레이스형 제품, 플랫폼 서비스포인트: 개별 고객에게 명확한 가치를 줄 수 있어야 효과 있음..
창업 아이디어X 검증된 니즈O 찐 니즈 찾기 / JTBD 방식 문제정의
창업 아이디어X 검증된 니즈O 찐 니즈 찾기 / JTBD 방식 문제정의
2025.03.27창업, 좋은 아이디어보다 검증된 니즈가 더 중요 좋은 아이디어는 넘쳐난다.하지만 진짜 필요한지, 돈이 되는지, 사람들이 원하는지는 완전 별개다.빠르게 만들고, 빠르게 실험하고, 빠르게 고쳐야 살아남는다.그래서 아이디어 검증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 조건이다. ❌ 스타트업이 망하는 흔한 착각시장에 대한 착각“우리 제품을 사랑할 거야!” → 고객은 다르게 생각함 고객 무시“우리가 더 잘 알아!” → 실제 니즈 외면하고 자기 확신에 빠짐 마케팅·세일즈 전략 부재“좋은 제품이면 알아서 퍼지지 않을까?” → 현실은 그렇지 않음 아이디어 검증이 꼭 필요한 이유 항목 핵심 내용 시장 수요 파악진짜 수요 있는지 확인 안 하면 시간·비용 다 낭비됨위험 감소초기에 문제 잡으면 큰 돈 들어가는 실수 줄일 수 있음자원 효율적..
왜 '노코드'인가? MVP 제작 주요 노코드 툴 장단점
왜 '노코드'인가? MVP 제작 주요 노코드 툴 장단점
2025.03.26노코드/로우코드 툴이 뭐냐면? 복잡한 코딩 없이 앱·웹 같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툴드래그 앤 드롭 방식, 인터페이스 친화적프로그래밍 언어 몰라도 기능 구현 가능 예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화면에 끌어다 놓으면 끝→ 일종의 '디지털 레고' 조립하는 느낌 왜 토스도 '노코드'를 이야기할까?토스는 노코드 기반 결제 위젯을 직접 런칭영세·중소 사업자가 개발자 없이 직접 결제 화면 세팅 가능기존엔 전자결제 구축하려면 외주 개발에 돈, 시간 많이 들었음토스는 이런 비용과 진입장벽을 확 줄여줌 실전 인사이트→ 이제는 스타트업이든 소상공인이든 개발 리소스 없이도 핵심 기능 빠르게 구현 가능 전통적 코딩 vs 노코드 툴 개발 지식 유무풀코드는 전문 코딩 지식 필수노코드는 몰라도 됨 학습 곡선 차이풀코드는 시간 ..
MVP 우선순위, 유저 페르소나, MVP 비용 계획 런칭 전략
MVP 우선순위, 유저 페르소나, MVP 비용 계획 런칭 전략
2025.03.25MVP 핵심 기능 선정 & 기능별 우선순위 설정 흐름서비스 만들기 전, ‘뭘 만들지’보다 ‘무엇을 먼저 만들지’가 더 중요핵심 기능 선별 + 우선순위 설정 = 리소스 낭비 없이 빠른 실행1️⃣ 문제 인식 + 목표 정리고객 인터뷰, 사용자 행동 분석 →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 파악해결 안 됐을 때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목표는 단기/중기/장기로 나눠 설정각 목표에 KPI 설정 → 실현 가능한 단계로 구체화 2️⃣ 사용자 요구 분석연령, 성별, 지역, 직업 등 다양한 사용자 그룹 조사통계적 변수 반영 → 타겟 명확화사용자 여정(Customer Journey) 맵으로 페인포인트/기대 포인트 시각화사용자 감정 흐름 기반으로 개선 포인트 도출 3️⃣ 기능 목록 만들기기능별 ‘가치 vs 중요도’ 매트..
MVP 시장 조사, USP, PMF 비즈니스 적용 방법
MVP 시장 조사, USP, PMF 비즈니스 적용 방법
2025.03.24BM 설계 ~ PMF 도달까지 (동시적으로 반복) 단계 핵심 개념 목적 주요 질문 1단계USP 설정“왜 이걸 해야 하는가?”우리 제품이 시장에서 독보적인 이유는? 경쟁사와 뭐가 다르지?2단계BM(Business Model) 설계“이걸 어떻게 돈으로 만들까?”수익모델은? 고객은 누구고, 어떻게 획득하고, 유지하지?3단계MVP 설계 및 실행“아이템이 실현 가능하고, 시장 반응이 있는가?”고객이 실제로 이걸 쓸까? 유료로도 사용할까?4단계PMF 검증“이건 확실히 고객이 원하는 제품인가?”고객이 자발적으로 사용하고, 만족하고, 계속 쓰는가? USP → BM → MVP → PMFUSP는 BM의 ‘핵심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이 됨MVP는 USP가 고객에게 실제로 ‘와닿는지’를 테스트하는..
피벗이 뭔가요? 창업자가 많이 흔들리는 지점
피벗이 뭔가요? 창업자가 많이 흔들리는 지점
2025.03.23창업자가 가장 많이 흔들리는 지점 🤔망하지 않고 살아남는가 vs 방향을 잃고 헤매는가MVP를 테스트한 이후, 피벗할지 vs 개선할지를 결정하려면 데이터 기반 판단 기준이 필요 🎯 핵심 마인드셋“감으로 판단하지 말고, 가설로 판단하라.”MVP 결과는 감상이 아니라, 가설 검증 결과로 해석해야 해.그래야 다음 스텝에서 논리적인 실행 전략이 나온다. 🛠 실전에서의 결정 프로세스핵심 가설 기준 성과 지표부터 점검 예:“DAU가 1주 내 100명 이상일 것”“유저의 30%가 기능 A를 반복 사용”“리드 수집률이 10% 이상일 것” ➡ 지표가 예상보다 너무 낮다? 👉 기본 방향 자체를 다시 봐야 함 → 피벗 신호 정성적 피드백 vs 정량적 지표, 둘 다 보기“이런 서비스면 진짜 쓰고 싶어요” (정성)그..
왜 MVP, 프로토타이핑이 중요할까? 결론 SPEED
왜 MVP, 프로토타이핑이 중요할까? 결론 SPEED
2025.03.22실패를 줄이려면 완성도를 높이기보다,빨리 만들고, 빨리 부딪히고, 빨리 배우는 게 먼저다'느리게 완벽하게'보다 '빠르게 불완전하게'가 창업 성공의 열쇠. MVP와 프로토타이핑, 왜 중요한가?창업 초기에는 완성도 높은 제품보다아이디어를 시장에서 검증하고 학습하는 구조가 더 중요 프로토타이핑은 아이디어를 실제처럼 구현해서 빠르게 실험하는 도구MVP는 시장에 출시 가능한 최소 기능 제품으로, 진짜 수요를 검증하는 실전 무기 🔄 개발 방식의 전환: 워터폴 → 애자일과거에는 계획 → 개발 → 출시 순이었지만지금은 반복적으로 실험하고 수정하는 애자일 방식이 대세 💡 이유?시장이 너무 빠르게 변하고, 고객 니즈는 예측이 어렵기 때문! MVP vs 프로토타입 vs 프리토타입 차이 비교표 프리토타입 (Pre..
창업 아이템 발굴, 검증의 모든 것 BM(비즈니스 모델)
창업 아이템 발굴, 검증의 모든 것 BM(비즈니스 모델)
2025.03.21창업 할 때 유용하게 쓰이는 플랫폼 디캠프 https://dcamp.kr/event 기업마당 https://www.bizinfo.go.kr/ K-STARTUP (각종 모집 공고)https://www.k-startup.go.kr/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별로 센터가 있음)https://ccei.creativekorea.or.kr/ 디스콰이엇 IT 서비스 메이커들의 소셜 네트워크, 디스콰이엇에서 서로의 프로젝트를 공유해보세요! https://disquiet.io/ EO https://eopla.net/ 창업 아이템 발굴과 검증의 모든 것창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을 만들 것인가?"죠.좋은 아이템은 시장의 니즈를 정확히 짚고, 문제를 해결하며, 수요를 창출 해야합니다. 1️⃣ 창업에서 아이템이 중요..
부트스트랩 템플릿 활용_혼자 반응형 웹 만들기
부트스트랩 템플릿 활용_혼자 반응형 웹 만들기
2025.03.19부트스트랩 Bootstrap 웹 페이지를 빠르게 예쁘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CSS + JS UI 프레임워크 부트스트랩의 장점모바일 최적화, 반응형 가능 이때 사용하면 좋음 빠르게 프로토타입 제작할 때반응형 웹 만들고 싶을 때UI 요소를 직접 디자인하기 어려울 때스타트업 MVP 만들기 초고속 제작 https://getbootstrap.kr/ Bootstrap강력하고 확장 가능하며 기능이 풍부한 프론트엔드 툴킷. Sass로 빌드 및 커스터마이징하고, 사전 빌드된 그리드 시스템 및 구성 요소를 활용하고, 강력한 JavaScript 플러그인으로 프로젝트에 생기getbootstrap.kr 디자이너가 없는 상태로 만들기 편함. 미리 CSS를 다 넣어놓음 부트스트랩 템플릿 (무료 다운 활용) https..
웹개발 jQuery 심화
웹개발 jQuery 심화
2025.03.18메소드 (method)객체에 붙은 함수 : 어떤 동작(행동)을 시키고 싶을 때 사용예: 버튼을 클릭했을 때 스타일을 바꾸거나, 텍스트를 읽거나, 값을 설정하는 행동 HTML 요소를 그냥 보여주는 게 아니라"클릭 시", "입력 시", "조건 만족 시" → 변화를 주는 도구 만들 때 = 직접 function 정의하거나, 커스텀 메서드 작성할 때쓸 때 = jQuery, JavaScript 객체에 .메서드명()으로 호출할 때 메서드 언제/ 왜 사용? getter / setter 활용 예시 안녕하세요 Getter 테스트 Setter 테스트 [Getter 테스트] 버튼→ 현재 h2와 input의 값을 읽어서 alert()로 보여줌 [Setter 테스트] 버튼→ h2 텍스트,..
왜 javascript 말고 jQuery 사용해? JS > jQuery
왜 javascript 말고 jQuery 사용해? JS > jQuery
2025.03.17JS ➡️ jQuery 이유 jQuery는 더 적은 코드로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음단점: 무거운 라이브러리라 요즘은 vanilla JS나 React, Vue 선호하지만 jQuery 쓰는 레거시 코드에서 읽고 바꾸는 데는 꼭 필요함 JS / jQuery 차이 예 : 버튼을 클릭하면 텍스트 색을 빨간색으로 바꾸기 $()는 jQuery의 핵심 선택자 문법 src src는 source의 줄임말외부 파일의 경로(위치)를 지정할 때 쓰는 속성"이 파일 어디서 불러올 건지?" 알려주는 역할! 이미지, 외부 스크립트, iframe $(document).ready()거의 무조건 쓰는 기본 구조HTML 문서가 모두 로딩된 다음에 자바스크립트(jQuery) 코드를 실행시키는 함수HTML이 다 만들어지기 전에..